황산에 올라 운무 속에서 신선을 만나다. 아래의 글은 중국 황산을 다녀온 친구 부인이 산악회 관련 잡지에 게재한다며 대필을 요청해와 작성해 준 글이다. 여성적인 시각으로 작성했으며 약간은 아마츄어적인 어휘로 표현시켰다. 글을 대필한 글쓴이는 중국 황산을 다녀오지를 못해 자세한 내용과 그 감흥은 알지 못하나 일정.. 내가 다닌 여행지 2018.04.21
시진핑 중국 당서기 아버지의 교훈 시진핑 아버지의 교훈 그 사람의 정치적 입지가 옳건 그르건 간에 성공한 사람임에 틀림없고 그 바탕에는 훌륭한 아버지의 교훈이 있었습니다. 나는 어렸을 적 매우 이기적이고 욕심 많은 아이였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친구들이 하나,둘 내 곁을 떠나고 외톨이가 되있는데도 나는 그때.. 알면 좋은 상식 2018.04.21
김의 영양학 김 한장의 영양학 美國人들이 일본에 개항을 요구할 19세기 초, 그들이 밥을 먹을 때 이상하게 시커먼 종이를 먹는다고 미개인들이라고 멸시하고 이해하지 못했었던 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 Seaweed(김)을 따라서 먹는다고 한다. 좋은 식품인 것을 알고서 일 터. 더군다나 김보다 값이 싼 .. 알면 좋은 상식 2018.04.21
일본의 문화 7 - 셉부쿠(할복割腹) 할복〈셉푸쿠〉切腹 스스로 배를 갈라 죽는 행위로 캅푸쿠(割腹), 토후쿠(屠腹), 하라키리(腹切り)라고도 불리며 에도 시대 이후 무사의 명예를 담보로 하는 형벌로 여겨졌다. 역사적으로는 『하리마 후도키(播磨風土記) 715』에서 여성인 오우미노 카미(淡海神)가 배를 가르고 못에 빠져 .. 길위의 인문학 2018.04.08
일본인의 문화 6 - 일본의 집단주의 일본의 집단주의 라이샤워 교수는 일본인과 유럽인의 차이 중에서 가장 현저한 것은 일본인의 집단중시라고 보고 있다. 확실히 일본인의 집단중시는 2차 대전 때에 옥이 아름답게 부서지는 것처럼 명예나 충의를 중시하여 미련 없이 죽는 교쿠사이(玉砕)와 같은 집단자결의 비극이나 1억.. 길위의 인문학 2018.04.08
일본인의 문화 5 - 노천탕露天風呂 온천(溫泉)·노천탕〈로템부로露天風呂〉 일본인은 세계 여러 나라 중에서 가장 온천을 즐기는 국민이다. 섬나라 특유의 습한 기후의 필요조건과 자그마치 16,695개소에 달하는 충분조건이 만들어낸 결과이다. 온천은 대지환희의 상징이고 노천온천은 자연혜택의 극치이다. 각박한 일상.. 길위의 인문학 2018.04.08
일본인들의 문화 4 - 오야붕/코붕 親分/子分 오야붕/코붕 親分/子分 제도 비슷한 친족관계의 일종으로 실제 친자관계와는 별도로 가족집단 밖에서 맺어지는 친자관계와 비슷한 사회관계를 가리키는 말인데 양자에 의한 친자관계와 결혼으로 만들어지는 부부와 그의 부모와 맺어지는 친자관계와는 구별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사회.. 길위의 인문학 2018.04.08
일본인들의 문화 3 - 엥카演歌 엥카演歌 일본 대중음악의 한 분야. 이 엥카는 자유 민권운동을 선전하기 위한 민권가요가 기원이었는데 1888년 히사다 오니이시(久田鬼石)가 엥카 장사단[엥카 소오시당(演歌壮士団)]을 결성할 무렵부터 노래에 의한 연설이라는 의미에서 연가라는 말이 생겨났으며 장사가[소오시카(壮士.. 길위의 인문학 2018.04.08
일본인들의 문화 2 - 무사도武士道 무사도〈부시도오〉武士道 일본인의 사생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불교였다. 죠오도슈우(浄土宗)는 「엔리 에도(厭離穢土) 공구 죠오도(欣求浄土)」라고 해서 더럽혀진 이 세상을 떠나 극락정토에서 환생해야 한다고 주창했다. 또한 젠슈우(禅宗)의 일파인 소오토오슈우(曹洞宗).. 길위의 인문학 2018.04.08
일본인들의 문화 1 - 카몽家紋 카몽家紋 옛날부터 일본인은 기물이나 무기 혹은 사냥도구나 심지어는 자신의 몸에 문양을 그려왔다. 이것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고 주술적인 의미도 포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무훈을 떨칠 수 있기를〉·〈많은 사냥감을 얻을 수 있기를〉 〈건강하게 지낼 수 있기를〉 등등의 염원.. 길위의 인문학 2018.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