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 왕후가 된 고구려 우씨왕후 우씨왕후于氏王后 | 두 번 왕후가 된 고구려 여인 삼국시대에는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한 당찬 여성들이 많았다. 그들 가운데 스스로 왕을 선택하였고, 두 남편이 모두 왕이었던 특별한 삶을 살았던 우씨왕후가 있다. 권력을 가졌던 우씨왕후의 몰락 우씨왕후. 그녀의 연나부 우소의 .. 인물한국사 2018.01.26
성종 시대를 뒤흔든 여인-어우동 조선시대에 왕실 여성이 아닌 일반 여성으로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인물은 누구일까? 아마도 어우동(於于同, 또는 於乙宇同, ?~1480)이 첫째나 둘째에 꼽힐 것이다. 그런데 긍정적인 캐릭터가 아니라 성추문 사건의 주인공이라는 부정적인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오히려 이런 독특한 캐.. 인물한국사 2016.07.23
연산군의 마음을 뒤흔든 여긴-장녹수 가난해서 시집도 여러 번 가고 자식까지 둔 여인이 왕에게 발탁되어 궁궐에 들어갔다. 바로 장녹수(張綠水, ?~1506) 이야기이다. ‘연산군’ 하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인물 장녹수는 흥청(興淸)이라는 기생 출신에서 일약 후궁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연산군 시대의 신데렐라였다고나 할.. 인물한국사 2016.07.23
일두 정여창의 선비정신을 만나다 일두 정여창의 선비정신을 만나다 | 경남 함양 개평마을 양반 고장을 지칭할 때 늘 '좌 안동, 우 함양'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듯이, 함양 역시 안동 못지않은 양반 고장으로 손꼽힌다. 여기에는 조선 성리학의 대가인 일두 정여창의 고향이자 500여 년이 훨씬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개평마을.. 인물한국사 2014.09.14
정도전 - 새 나라 조선을 설계하다. 이 글은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로 봉직중인 이근호 교수가 쓴 글이다. 이 교수는 조선후기 정치사와 정치사상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대중과 소통하려는 차원에서 [이야기 조선왕조사],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사전] 등을 출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죽로.. 인물한국사 2014.06.30
추사 김정희의 예술혼 아래의 글은 실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있는 정성희 역사연구사가 쓴 글이다. 정 연구사는 ‘현재와 소통하는 살아있는 역사’를 발굴해 내는 일에 전념하고 있으며, 현재는 ‘21세기와 실학’이라는 주제에 관한 저술을 하고 있다. 죽로산방에서 서pd 한국사에서 19세기 최고의 인물을 꼽.. 인물한국사 2014.06.05
영원한 암행어사(?) 박문수 아래의 글은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이근호 연구교수가 쓴 글이다. 이 교수는 현재 조선후기 정치사와 정치사상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대중과 소통하려는 차원에서 [이야기 조선왕조사],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사전] 등을 출간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죽로산방에.. 인물한국사 2014.06.05
폐세자의 불행한 운명-양영대군 아래의 글은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로 재직중인 김범 연구사가 작성한 글이다. 그는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회사를 전공한 정통 학자로 [사회와 반정] [연산군-그 인간과 시대의 내면]번역서와 [유교적 걍세론과 조선의 제도들-유형원과 조선후기-제임스 팔레지음]번역서가 있다. 죽로.. 인물한국사 2014.05.04
전제왕권의 몽상가- 연산군 아래의 글은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로 재직중인 김범 연구사가 작성한 글이다. 그는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회사를 전공한 정통 학자로 [사회와 반정] [연산군-그 인간과 시대의 내면]번역서와 [유교적 걍세론과 조선의 제도들-유형원과 조선후기-제임스 팔레지음]번역서가 있다. 죽로.. 인물한국사 2014.05.04
논쟁적 인물-유자광 아래의 글은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로 재직중인 김범 연구사가 작성한 글이다. 그는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회사를 전공한 정통 학자로 [사회와 반정] [연산군-그 인간과 시대의 내면]번역서와 [유교적 걍세론과 조선의 제도들-유형원과 조선후기-제임스 팔레지음]번역서가 있다. 죽로.. 인물한국사 2014.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