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쓰는 에세이

福에도 종류가 있다

sunking 2013. 1. 11. 11:39

 

 

201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베스트 학우님 모두가 올 한 해 건강하시고 하시는 일 모두에 행운이 가득하시기를 기원 드립니다.

계사년 새해를 맞아 미흡한 글이지만 졸문으로 신년인사를 드립니다.

--------------------------------------------------------------------------------

 

복(福)에도 종류가 있다.   아트파크디자인연구소 _서병태 

 

옛 선현들은 사람들이 평생을 살아가며 누리면 좋을 복(福), 일곱가지를 기술했는데 그 중에서

네개만 가져도 행복하다고 하는 그 일곱가지 복(福)들을 열거해본다.

 

첫째 1健이라 하여

세상의 복(福)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건강(健康)을 꼽았다.

어떤 일을 하던 간에 건강한 몸이 아니고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어떠한 경우라도

첫 번째로 누려야 할 복(福)으로 건강이 차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夫(妻)

이것을 둘째로 친다. 일명 남편복(夫福) 또는 처복(妻福)이라고 하는데 사람이 평생을 살아가며

가장 많이 접촉하는 사람이 부부(夫婦)이다. 평가기준을 보면 남자는 품행과 도덕성, 가치관

나아가 가정관까지 그 폭이 넓고 경제력까지 갖추면 금상첨화이고 여자는 자식교육에 엄격하며

시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하고 나아가 재정문제나 친인척 관리에 이르기까지

아내가 척척 알아서 한다면 그 이상 부러울 것이 없다고 한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고 가정이 평안해야 모든 일이 잘 이루어 지는 것.

두 번째 복(福)으로 치는 이유이다.

 

3財

세 번째로 3재(財) 재물운(財物運)을 친다. 세상은 물질만능 시대. 재물만 있으면 부족한 지식도

보충될 수 있고 명품으로 몸을 감싸면 남들이 지성인 취급도 하게 된다.

손쉽게 상류사회에도 접근할 수 있으며 신분상승도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재물운(財物運)이 있으면 하는 일 마다 안되는 일이 없고 엎어져도 돈 밭에 넘어진다고 하지 않는가!

 

4事(學)

위에 열거한 건강과 부부간의 복(福), 재물운(財物運), 이 모두가 갖추어 졌다고 하자.

평생 놀고 먹을 수 야 없지 아니한가. 모름지기 일복이 없이는 아무것도 쓸모가 없다.

공부를 위해 학교를 다닌다거나 사업이나 장사를 하거나, 직장생활을 하던 간에

일을 하지 않으면 인간은 하등동물과 다름이 없을 것이다.

 

5友

평생을 살아가면서 인생을 논할 친구 2명만 있어도 삶의 가치를 잃지 않고 살았다고 할 수 있다.

벗이 없는 즐거움을 상상해 보면 얼마나 적막한가는 미루어 짐작할 수 있으리라.

 

여섯 번째로 자식복(福)을 얘기한다. 이름하여 6子라고 불렀다. 옛날부터 어른들이 말씀하시기를

자식이기는 사람 없다고 했다. 건강한 몸과 사랑스럽고 가사에 최고 점수를 줄 수 있는 부인에다

돈도 많고 사업도 성공하여 주위에 항상 친구들이 북적되는 사람이라도 자식이 쏙 썩이기 시작하면

정신이 아득해진다. 그 보다 더 큰 속 앓이는 없으리라~

자식 때문에 밤낮없이 경찰서에나 불려다니고 딸 자식 단속하느라 노심초사 한다면

하루인들 편안한 날이 있겠는가! 자식이 속 안썩이고 산다는 것...생각만 해도 신나는 일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베풀고 사는 삶을 진정한 행복이라고 정의하는데 7善(선)이라 한다.

세상에 남에게 베푸는 것 만큼 기분이 좋아지는 일은 별로 없을 것이다.

저녁나절 손수레에 재활용품을 가득 싣고 언덕 위를 버겁게 올라가고 있는

할머니의 손수레를 밀어보거나 년말 년시 자선남비에 온정의 손길을 내미는 일.

경험해 보지 않으면 잘 모를 것이다.

 

남의 아픔과 슬픔을 보고 우리가 왜 눈물을 흘리는가?

그것은 마음 속에 선(善)이라는 아주 작고 예쁜 인자가 존재하는 것 때문이 아닐까?

그것이 만약 있다면 자유자재로 꺼내어 보다가 나보다 조금 부족한 이웃들에게 선(善)을 나누어 주는 일

즉 나눔을 행하는 일을 옛 사람들은 일곱번째 복(福)이라고 본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며 일곱개 모두의 복(福)을 가질 수는 없지만 일곱개 복(福) 중에서

최소 네개 이상 가져보도록 오늘부터 노력해 봄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타고난 복도 있지만 살아가면서 노력으로 쟁취하는 복도 있는 법

우리 베스트 학우들은 4事(學)는 확실히 가지고 있으니 금년 한해 나머지 복들을 쟁취하기 위해

후회없는 삶을 살아보자.

 

복에 대한 평가 점수는 자신의 환경에 맞춰 평점을 맞춰야 할 터!

 

 

'내가 쓰는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그러진 우리들 모습  (0) 2013.02.03
멍~하게 있어 보세요  (0) 2013.02.03
아름다운 인연  (0) 2013.02.02
한사람은 진흙, 또 한사람은 별  (0) 2013.01.11
秋思-가을을 생각하며  (0) 201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