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람은 진흙. 또 한 사람은 별
2차 대전 무렵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좋은 집안에서 곱게 자란 한 처녀가 학교를 졸업한 후
믿음직한 청년을 만나 결혼을 했다.
신랑은 군 복무중이였는데 신혼 몇 달만에 몬트레이의 사령부 근무를 마치고 배속된 곳이
멕시코 국경 근처 사막 지역에 위치한 특수전 훈련소 교관 직책이었다.
새댁은 남편을 따라 그곳으로 이사를 갔는데 가서 보니 숙소라는 것이 통나무 오두막집인데 다가
주거 환경이 말이 아니었다.
태양은 매일매일 불덩이를 매달아 놓은 것처럼 지글거리지, 응달이라도 밖의 온도는 항상 38도를 넘고,
게다가 오후에는 어김없이 불어오는 뜨거운 흙먼지 바람 때문에 집안 살림살이는 물론
사람 콧구멍 속에 까지 모래 투성이다.
게다가 남편은 종일토록 전투훈련에 참가해야 했는데 혼자 오두막집에 남아있는 새댁은
우선 말상대가 없어서 미칠 지경이었다. 이웃에 사는 사람들도 고작 인디언과 멕시칸뿐인데
그들과 영어가 통하는 것도 아니고 또 어울릴 일도 없다.
새댁은 스스로 생각해도 자기의 신세가 너무나 처량하고 비참하다고 생각되어
친정 집으로 편지를 보냈다.
“이곳은 사람 살 곳이 못됩니다. 차라리 감옥도 이보다는 나을 것입니다.
남편이 이곳의 근무를 마칠 때까지 친정에 가 있으면 합니다.”
이 편지를 받은 친정 부모는 당장 “아이고 우리 딸아,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 하며
사위놈 욕을 해대면서...사정이 그렇다면 어서 친정으로 오너라”라고 답장이 올 줄 알았지만
정작 친정 아버지로부터 온 회답은 단 두 줄의 글귀였다.
“두 사람이 감옥의 창 밖을 내다보았다. 한 사람은 진흙탕을,
또 다른 한 사람은 별을 바라보았다.”
새댁은 이 글을 읽고 또 읽으면서 마음속에 강하게 와서 닫는 그 무엇을 느꼈다.
“나는 지금까지 진흙탕만 보았구나! 내가 왜 반짝이는 별을 보지 못하였을까?”
그래서 새댁은 현재의 상태에서 무엇인가 좋은 점을 찾아내려고 맘을 먹었다.
별을 쳐다보는 생활을 해야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다음 날부터 이웃 인디언 주민들과 친구가 되어 손짓 발짓으로 의사를 전달하면서
집안 일을 거들어주고, 시간 시간마다 아이들을 돌보고 때로는 학습까지 지도하면서
바쁜 나날을 보냈다. 그리고 혹간 마을 주민과 군부대간 협조해야 할 사항이 생기면
통역을 자원하여 주민들의 편리를 도모하기도 하였다.
언젠가는 이웃 어린아이가 갑자기 온몸에 불덩이 같이 열이 올라 의식을 잃자
당황한 아이 어머니는 한 밤중에 새댁의 숙소를 두들겼고,
새댁은 맨발로 뛰다시피 아이를 안고 군 의무대에 뛰어가서 구급진료를 받은 적도 있었다.
이제 토민들과 귀중한 친구가 된 것이다.
이렇게 지역 인디언들 속에 들어가 생활을 하다보니 그들만의 토산품인 편물이나
도자기들에 눈을 뜨게 되었다. 결코 윤택하지는 않지만 신비감 어린 색상, 소박한 디자인,
그리고 무어라고 집어 설명할 수 없지만 작품 하나 하나가 주는 분위기에 빠져들기 시작한 것이다.
새댁이 이곳 토산 공예품에 관심을 갖게 되니까 동네 인디언들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은
자기들만의 공정과정을 보여주기도 하였고 여행자들에게는 팔지 않는 소중한 작품들을
선물하기도 하였다. 새댁은 남편이 그곳에서 근무하던 2년 남짓의 기간 동안을
자기일생에서 가장 즐겁고 값진 추억으로 간직하게 된 것이다.
무엇이 새댁으로 하여금 감옥보다도 못하다고 느끼던 곳을
즐거운 추억의 장소로 바꾸게 만들었을까. 그것은 자신이 변하였기 때문이다.
지글거리는 사막의 태양도, 흙먼지 바람도, 인디언도 모두가 그대로였지만
자신의 마음가짐이 달라지니까 세상이 달라진 것이다.
그래서 새댁은 아버지에게 편지를 썼다.
“나는 내 자신이 만든 감옥에서 마음의 창문을 통하여 아름다운 별을 찾았습니다.
아빠 너무 너무 감사해요.”라고...
대부분 우리들은 방송대에 입학한 후 처음 얼마간은 “내가 이 나이에 뭘 배울게 있다“고
이러느냐고 자책한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책을 보는 것도 익숙치 못하고,
낯선 책상 앞에서 교수들로 부터 강의를 듣는 것, 스터디에 나가는 일,
더군다나 시험보는 것까지 도대체가 익숙한 게 하나도 없었다.
나아가 공부하는 일,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일 등등, 보이지 않는 벽에 가로막힐 때마다
“내가 지금 뭐하고 있지? 이런다고 내가 뭐가 변하는데?” 하는 생각들도 많이 했을 것이다.
직장에서 윗사람이 눈치를 줄 때마다
“이럴 바엔 안하는게 낳지”하는 생각을 안해 봤으면 거짓말이다.
그러나 그때마다 우리는 마음의 창문을 통하여 아름다운 별을 바라보았다.
그랬기 때문에 책을 보는 것도 익숙해 졌고, 나 자신이 무언가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충만해져 모든 일에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가 있었다.
우리가 어떠한 입장에 처해 있을지라도 눈을 들어 별을 쳐다보는 것은 소중한 지혜이다.
우리들의 이러한 열정들이 자식들의 눈에는 어떻게 보여질까?
당연히 “우리 엄마는, 우리 아빠는 대단하셔! 자기 자신을 위해 저렇게 열심히 사시니.. 멋있어” 라고....
하지 않을까? 그 한마디라도 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방송대를 졸업한 선배들도 그러한 마음으로 공부했고 글쓴이도 그러했다.
후배님들도 그럴 것이다. 주저하지 말라. 시작했으면 끝을 봐라!
공부를 하겠다고 결심한 순간부터 그대들은 멋진 사람들이였으니까!
[베스트스터디] 그대들의 선배 1기 서 병 태
'내가 쓰는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그러진 우리들 모습 (0) | 2013.02.03 |
---|---|
멍~하게 있어 보세요 (0) | 2013.02.03 |
아름다운 인연 (0) | 2013.02.02 |
福에도 종류가 있다 (0) | 2013.01.11 |
秋思-가을을 생각하며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