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의 끝, 덩벙대며 들어 선 이 길이 피레네 산맥으로 가는 길
부딪치며 가는거야
우체국이 열리는 내일까지 이곳에서 하루 더 묵을까?
따듯한 침낭 속에서 온기를 즐기며 일어나기가 싫다. 룸메이트 스페인 아저씨의 부스럭 거리는 소리에 잠이 깼다.
준비하는 소리조차 스페인 사람답게 에너지틱하다. 비옷에 비옷바지까지 챙겨 입고 그는 떠났다. 침낭 속에서 다시 한번 일정을 짜본다.
오늘 더 묵으며 생쟝을 돌아보고, 내일 우체국 열리는 시간에 산티아고로 당장 필요 없는 짐을 부치고 떠난다?
(왜냐하면 오늘은 노동절이라 모든 관공서는 휴일이라고 한다.)
그래도 난 배낭을 메고 다니지는 못할 것이고, 어차피 메고 갈 수 없는 것이라면 당장 조금 힘들더라도 일정까지 늦추며
기다릴 필요야 없잖아. 맞아 그러면 그냥 까미노 사무실로 올라가 짐은 다음 알베르게로 보내는 거야.
더 이상 꼼질 거리지 말고 일어나. 계획 없이, 자세한 정보 없이 떠나온 것에 대한 책임은 내 몫이고, 부딪치며 가는 거야.
이제 나는 진정한 순례자
까미노 사무실 도착 8시30분, 배낭을 받아 쥔 직원 왈, 택배 택시가 방금 떠났단다.
난감해 하는 나를 보더니 다른 방법이 있으니 놓고 가란다.
택배요금을 지불하고, 오늘 일정의 약도를 받았다. 피레네 산맥, 나포레옹 코스, 26K를 걷겠나 아니면 산 허리를 도는 14K를 걷겠나 묻는다. 두 거리를 걷는 것에 대한 감각이 없으므로 우선 오늘은 14K만 걷기로 했다. 나도 얼마까지를 걸을 수 있을지 알 수가 없다.
오늘이 앞으로 내가 얼마를 걸을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테스트의 첫날이다.
마을 끝자락 갈림길에서 산으로 가는 길과 산 허리를 돌아 가는 길이 갈리니 이정표 확인을 하며 가란 말을 뒤로 듣고 나왔다.
작은 배낭에 물과 간식과 우의와 작은 카메라를 넣고. 마을 등산 가게에서 스틱도 두 개, 순례자 표시라는 하얀 조가비도 하나 구입했다.
배낭에 매달린 하얀 조가비는 내가 순례자임을 표시해 줄 것이고,
어제의 비 예보와는 다르게 날씨는 맑고 화창하다. 노란 화살표와 가리비 (조가비) 모양을 따라 걷는다. 가리비도 하나 배낭에 매달았겠다,
민박집과 등산용 상점에서 크리덴셜카드에 도장도 받았겠다, 이제 나는 진정 이 길의 주인공, 순례자다.
황홀하게 아름다운 피레네 산이여
5월 초하루, 신록이 가장 아름다운 계절, 온갖 꽃들이 앞 다투며 피어나는 계절, 5월 생각만으로도 황홀한 이 계절에 그토록
원하던 이 길 위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가슴 설레는 일인가.
이름 모를 새들의 맑고 청아한 지저귐조차 나를 반기며 건네는 환영의 인사로 들린다.
마을을 벗어나며 완만하게 오르막 산길로 이어지던 길에는 갓 돋기 시작한 유록의 나뭇잎이 햇빛에 반짝이고,
오늘 새벽까지 내린 비로 대지는 촉촉이 젖어 있다. 먼 산 능선위로 구름이 흐르는가하면 산허리를 감아 돌며 물결처럼 흘러가기도 한다,
높은 산 계곡 아래로 그림처럼 한 두 채의 농가집이 있기도 하고, 양들은 한가로이 풀을 뜯는다.
산길은 점점 가팔아지고, 산 아래 계곡은 깊어진다. 색색의 이름 모를 들꽃들이 산을 덮듯이 피어있다.
얼마를 걸었을까, 가쁜 숨을 몰아쉬며 먼 능선길을 바라보던 곳, 첫 번째 알베르게 표시가 나온다.
피레네 산, 나포레옹길의 유일한 알베르게라는 오리손이다.
피레네 산맥의 유일한 알베르게 '오리손'의 bar
알베르게 임을 알 수 있는 빨래 줄에 널려 있는 빨래들
너는 까미노 길에서 만난 첫 번째 천사야.
서로 사진을 찍어주는 부부를 나란히 세워놓고 내가 한 컷을 찍어줬다. 고맙다고 하는 부부의 모습이 참 아름답다.
어디에서 왔냐고 어디로 가느냐고, 오늘 숙소는 어디로 할 것이냐는 건 이 길에서 묻는 일차적인 질문, 런던에서 왔다는 부부,
내가 가야하는 알베르게 이름을 듣더니 고개를 갸웃거리며 지도를 펴든다.
“네가 아마 길을 잘 못 든 것 같아. 이 길은 나포레옹 길로 가는 산길이란다.
” 맙시사, 생쟝 마을을 벗어날 때 그 갈림길에서 나는 산길로 접어든 것이었다. 어쩐지, 산길이 환상이었어.
지금까지 걸었던 길은 천국이었는데, 이젠 난 어쩌지? 영국인 부부, 얼굴을 맞대고 의논한다.
방법은 택시를 불러, 내가 가려고 하는 장소로 가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이란다.
20분후에 도착한다는 콜택시를 부르고, 맥주 한잔씩을 들고 얘기를 나눈다.
금빛으로 부서져 내리는 피레네 산속 햇빛을 즐기는 그 순간만큼은 내가 길을 잘못 들었었다는 당혹감 같은 것은 까맣게 잊었다.
젊고 예쁜 케이트는 웃으며 말한다. 너, 참 용감하다. 순간 웃음이 터져 나온다.
“용감?” 그 용감의 의미는 무엇일까? 나와 그의 남편이 동시에 터져 나온 웃음에 케이트도 웃는다.
세 사람, 웃음의 의미는 제 각 각 무엇이었을까?
“너는 이 까미노 길에서 만난 첫 번째 천사야. 고마웠어요.” 그들도 안녕이라며 손을 흔든다.
도착한 택시를 타고 내 짐이 와 있을 첫 번째 마을 Valcarlos를 향해 떠난다. 강원도 산길이 무색할 만큼 경사도 심하고 길도 좁다.
차 두 대가 지나게 된다면 곡예를 해야 할 판, 다행이 내려오는 길에 다른 차와 만나지는 않았다.
창밖으로 지나는 5월의 피레네 산은 차를 타고 지나기엔 너무 아쉽다.
피레네 산과 이렇게 이별을 해야 하다니. 어쩌랴. 우리 인생에서 이렇게 놓치는 그 수많던 기회를 너도 알고 있잖아.
미련은 두지 말기.걸으면야 3-4시간이겠지만, 30분 만에 나를 내려놓는다.
갑자기 ‘허망’하다는 생각, 걷고 또 걷겠다고 시작한 순례길 첫날, 7Km를 나는 택시를 타다니.
Varcalos, 아름다운 산골마을.
숲 속의 쉼터 - 알베르게 Benta
Volcarlos는 피레네 산자락의 아름다운 산 속 마을이었다. 물론 나는 국경을 넘었고, 이 곳은 스페인이다.
숙소인 Benta 알베르게는 계곡가에 지어진 깨끗하고 예쁜 곳이었다.
이층 침대의 윗 칸으로 배정을 받자 먼저 와 있던 브라질 아가씨가 불편 할테니 침대 아래 칸을 쓰라며 양보해준다.
스페인 말 밖에는 못하는 아가씨와 약간의 영어만이 가능한 나와, 이 정도는 소통이 손짓 눈짓 발짓으로 가능하다.
호주에서 왔다는 영리하게 생긴 알리가 극진히 챙겨준다. 짐이 도착한다는 바(bar까지 대, 여섯 번은 오르내렸다.
택시타며 아쉬워했던 거리만큼은 오르내리며 걸었던 것 같다. 산 속의 작은 마을이지만 오래된 석조의 성당이 있다.
하지만 평일엔 미사가 없는 것 같았다. 성당의 문은 굳게 닫혀있다.
생쟝의 까미노 협회사무소로 전화를 하자 직원 왈 ‘케롤라인’이 갖고 가는 것을 잊어 버렸다나.
누가 캐롤라인인지는 모르지만, 나는 난감한 밤을 보낼 수 밖에. 샤워 도구, 침낭, 갈아입을 옷, 등.
첫날부터 앞으로 만날 난관에 대한 예비 훈련을 충분히 했던 것 같다.
덕분에 호주, 네델란드, 영국, 브라질,등 다국적 국민들의 위로와 격려를 받으며, 알베르게 첫날밤을 맞았다.
늦은 밤, 베르린에서 왔다는 젊은 독일인 부부, 4-5세된 어린 딸을 데리고 들어왔다. 10Km를 그 꼬마가 걸어 왔단다.
꼬마가 어떻게 그 길을 걸어 올 수 있느냐며 놀라워하자 애 아빠 “Why not?"
독일? 뭐가 달라도 다르다니까. 거의 밤새워 그 꼬마는 내 침대 위에서 기침을 했다.
준비 없이 떠난 나나, 자신감 하나로 떠난 철없는 애 아빠나 저울에 올0려놓으면 같은 눈금에 올라올 것 같다.
맨뒤의 머리하얀 아줌마는 네델란드인-뭔가 한자락 했을 것 같은 카리스마 넘치던 양반,
헤어진후 20여일 만에 레옹 어느 알베르게에서 다시 만났었던 4개국어가 능통했던 여장부, 앞의 젊은 영국인 여자.
까미노협회와의 소통시 스페인과 불어 통역을 맡아줬었음. 모두가 감사했던 사람들.
3편에 계속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티아고 순례길-여섯째 날 (0) | 2013.08.14 |
---|---|
산티아고 순례길-다섯째 날 (0) | 2013.08.07 |
산티아고 순례길-넷째날 (0) | 2013.08.07 |
산티아고 순례길-셋째날 (0) | 2013.08.01 |
산디아고 순례길-첫째날 (0) | 201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