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쓰는 에세이

시인과 기생의 애틋한 사랑이야기

sunking 2016. 3. 8. 09:59

시인 [백석白石]과 기생 [자야子夜] 이야기


일제시대 시인 [백석白石]은 천재적인 재능과 훤칠한 외모로 당시 모든 여성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가 길을 지나가면 여인들이 자지러졌을 정도라 했으니 그 인기는 요즈음 톱탤렌트 못지 않았던 것 같다.

그에게는 평생을 두고 사랑했던 여인이 있었는데 그가 사랑했던 여인은 김영한. 기생이었다.

그녀와의 사랑은 '로미오와 줄리엣' 만큼이나 가슴아린다.

 

[백석白石]은 함흥 영생여고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하던 1936년, 회식 자리에 나갔다가 기생 김영한을 보고

첫 눈에 반하게 된다. 이 잘 생긴 로맨티스트 詩人은 처음 만난 여인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부터 당신은 영원한 내 여자야.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기 전까지 우리에게 이별은 없어." 라며

평생을 같이 할 것을 결심한다.

 

[백석白石]은 李白의 싯귀에 나오는 [자야子夜]라는 애칭을 김영한에게 지어주면서

사랑에 빠져 연인이 되고 동거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사이에 장애물이 등장하게 되는데...

 

유학파에 당대 최고의 직장인 함흥 영생여고 영어선생이었던 [백석白石]의 부모는 기생과 동거하는 아들을

탐탁하지 않게 여기고 둘의 사랑을 갈라놓으려 강제로 다른 여자와 결혼을 시킨다.

그러나 [백석白石]은 결혼 첫날밤에 [자야子夜]를 찾아가 만주로 도망가자고 제안하고...

[자야子夜]는 보잘 것 없는 자신으로 인해 [백석白石]의 장래에 누가 될 것이라며 그의 제안을 거절하자

[백석白石]은 [자야子夜]가 자신을 찾아 만주로 올 것을 확신하며 만주로 떠난다.

만주에서 홀로된 [백석白石]은 [자야子夜]를 그리워하며, 그 유명한 詩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짓는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 푹푹 눈이 내린다

 

나타샤를 사랑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아

소주燒酒를 마신다

 

소주燒酒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내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즈녁히 와서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서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내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그러나 잠시 동안이라고 믿었던 이별은 영원한 이별이 되고 만다. 해방이 되고

[백석白石]은 [자야子夜]를 찾아 만주에서 함흥으로 갔지만 [자야子夜]는 이미 서울로 떠난 뒤였다.

그 후 3.8선이 그어지고 6.25가 터지면서 두 사람은 南北으로 갈라져 [백석白石]은 평생을

[자야子夜]를 그리워하다 북에서 1996년 세상을 떠난다.

 

남한에 혼자 남겨진 [자야子夜]는 대한민국의 3대 요정 중 하나인 대원각을 세워 엄청난 재력가로 성장한다.

훗날 [자야子夜]는 당시 시가 1,000억원 상당의 대원각을 조건없이 법정스님에게 시주를 하는데

그 대원각이 바로 서울 성북동의 사찰 길상사吉祥寺다.

평생 [백석白石]을 그리워했던 [자야子夜]도 폐암으로 1999년 세상을 떠난다.

그녀가 세상을 떠나기 전 “1,000억원 상당의 재산을 기부했는데 아깝지 않느냐”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1,000억 재산이, 그 사람 詩 한줄 만도 못해... "

 

"내가 죽으면 火葬해 길상사吉祥寺에 눈 많이 내리는 날, 뿌려 달라"고 했다니

[백석白石]의 詩처럼 눈이 푹푹 내리는 날 사랑하는 사람에게로 돌아가고 싶었나 보다.

 

사랑하지만 떠나야 했고, 때론 그리워해도 만날 수 없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런 측면으로 본다면 우린 얼마나 행복한 사람들인가.

그러나 우린 그러한 기쁨과 행복을 당연하게만 생각하고 많은 것을 간과하면서

더 큰 욕심만 부리며 살고 있다.


[백석白石]과 [자야子夜]의 애틋한 러브스토리를 접하고 스스로에게 부부간의 사랑이 무엇인지

한번쯤 뒤돌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죽로산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