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문화유산 남한산성南漢山城
2014년 6월 23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남한산성 내 유적 사진들을 업로드 합니다.
우리들은 건강을 위해서 트래킹코스로 잠시잠시 지나쳤던 곳이지만 선조들이 남긴 치욕의
역사와 임시 왕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아픈 과거의 속살을 알 수는 없었습니다.
이번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됨을 계기로 남한산성의 유적들을 천천히 살펴 보시면서
선현들의 한과 아픔을 한번씩 되새겨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죽로산방에서 서pd
남한산성은 선조 임금에서 순조 임금에 이르기까지 국방의 보루로서 그 역할을 유감없이 발휘한 장소였다.
특히 조선 왕조 16대 임금인 인조는 남한산성의 축성과 몽진, 항전이라는 역사의 회오리를
이곳 산성에서 맞고 보낸 바 있다.
동문인 좌익문(左翼門)에서부터 성벽일주를 시작하며...
송암정
남한산성 행궁
옹성(甕城)과 통하는 암문(暗門)
장경사신지옹성
암문
북문인 전승문(全勝門)
연주봉옹성
연주봉옹성과 통하는 암문
연주봉옹성
연주봉옹성에서 본 남산 방향
북한산 방향
서문인 우익문(右翼門)
성안에서 본 ?裏攷?서문)
수어장대(守禦將臺)..
지휘와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의 누각으로 남한산성에 있던 5개 장대 중에 유일하게 남아있다.
영춘정
남문인 지화문(至和門)
제2남옹성치
제3남옹성 암문
망월사
성벽일주를 마치며 하산길에 건너다 본 동문(左翼門)
행궁(行宮)이란 왕이 서울을 떠나 도성 밖으로 행차하는 경우 임시로 거처하는 곳이다.
인조 2년(1624)에 짓기 시작해 인조 4년(1626)에 완성하였다.
행궁 중에서 유일하게 종묘사직 위패 봉안 시설을 갖추었으며, 상궐 73칸, 하궐 154칸 등
총 227칸으로 이루어진 행궁이었으나 1907년 일제가 불을 질러 터만 남게 되었다.
1999년에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시작하고 경기도가 남한산성 복원공사에 착수해
2010년에 완전히 복원했다. (사진은 전시된 자료)
한남루(漢南樓)
외삼문(外三門)
수어장대의 옛 모습
남문의 옛 모습
외행전(外行殿).. 왕이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던 곳
일장각(日長閣).. 광주유수가 지내던 곳
내행전(內行殿).. 왕과 왕비의 침전
행각(行閣).. 수행원들이 머물던 곳
재덕당(在德堂).. 제사를 지내기 위한 건물로 추측
좌승당(坐勝堂).. 광주유수의 집무용 건물
이위정(以威亭).. 활을 쏘기 위한 정자
후원(後苑)
좌전(左殿).. 유사시 종묘에 있는 선대왕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만든 건물
광주시립광지원농악단 공연
지수당(地水堂).. 헌종 13년에 지어진 정자로 양반들이 풍류를 즐기기 위한 곳
침괘정(枕戈亭)
지어진 시기나 용도는 알 수 없으나 1751년에 새롭게 고쳐 짓고 '침괘정'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숭렬전(崇烈殿)
백제의 시조 온조왕과 남한산성을 쌓을 때 책임자였던 이서장군을 모신 사당
연무관(演武館).. 인조 3년에 지은 군사훈련을 하기 위해 건립한 지휘소
'한국의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전통의 명검 (0) | 2014.11.11 |
---|---|
정도전은... (0) | 2014.06.29 |
경복궁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세요? (0) | 2014.03.28 |
유네스코 등재 대한민국 기록유산 (0) | 2014.02.20 |
한류-공감과 소통의 미래 (0) | 201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