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인천시 남동구 소래역로 12 | 문의 032-719-1522
소양강 둘레길 아름다운 수변환경과 레포츠를 접목한 트레킹 코스. 최대한 옛길을 복원한
주소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 문의 033-460-2170
주소 인제군 북면 한계3리 | 문의 033-636-7700
상원사 소리가 아름답기로 유명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동종(국보 제36호)이 보존되어 있는 절.
주소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5-89 | 문의 033-332-6666
주소 강릉시 연곡면 삼산2리 | 문의 033-661-4161
임해자연휴양림 전국에서 유일하게 푸른 바다와 산의 정취를 함께 느낄 수 있는 숲 속 휴양림으로
주소 강릉시 율곡로 1715-85 | 문의 033-644-9483
주소 강릉시 운정길 63 | 문의 033-648-5303
정선아리랑시장 매월 2·7·12·17·22·27일 주말장에 열리는 재래장터. 농촌에서 직접 재배한
주소 정선군 여량면 노추산로 745 | 문의 033-563-8787
계족산 황톳길은 ‘숲속 맨발 걷기’라는 테마를 전국 최초로 시도한 건강여행길이다.
2008년 여행전문기자들이 ‘다시 찾고 싶은 여행지 33선’, 2009년 한국관광공사에서
‘5월에 꼭 가봐야 할 명소’로 선정할 정도로 걷는 즐거움이 상당하다.
또한 유엔환경어린이회의에 참석한 1백 개 나라 5백여 명의 외국 어린이와 세이셸공화국 미셸 대통령이
맨발로 걸어 유명세를 탔다. 계족산 황톳길은 장동삼림욕장 공원사무소에서 시작해 임도삼거리, 절고개,
이현동갈림길로 이어지는 14.5㎞의 길이다.
이 길을 맨발로 걷거나 뛰다 보면 부드러운 황토 발 마사지와 삼림욕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발을 씻을 수 있는 수돗가도 마련되어 맨발로 걸어도 부담이 없다.
최근엔 자전거를 타며 계족산의 경치를 즐기기 위해 전국의 하이킹 마니아들이 찾고 있다.
대한민국 에코 힐링 관광지가 된 계족산 황톳길을 걷는 사이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주소 대전시 대덕구 장동 59번지 | 문의 042-623-9909
▷주변 관광지
대청댐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큰 댐으로 대청호를 더욱 아름답게 볼 수 있는 전망대와 물홍보관,
잔디광장 등이 있다. 경관이 빼어난 드라이브 코스도 추천코스.
주소 대전시 대덕구 대청로 618-136 | 문의 042-930-7332
대전 계족산성 계족산 정상에 능선을 따라 축조된 테뫼식(산 정상부를 둘러가며 쌓은 건축형식) 산성.
계족산 능선을 따라 1,037m의 둘레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주소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산 85 | 문의 042-608-5133
대구 도심은 근대 문화유산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격동의 근현대사에 얽힌 이야기가 집중적으로
분포된 공간과 사람이 있는 곳이다.
‘근대골목, 근대골목투어’는 2006년 ‘근대문화공간디자인개선사업’이 국비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도심 변화의 중심이 되었다. 이를 계기로 20세기 대구의 근대사를 고스란히 스토리로 담아낸
근대 골목이 만들어지고 근대골목투어 프로그램으로 활성화되었다.
5개 코스가 있는데 근대 건축물, 민족운동가 고택 등을 접할 수 있는 제2코스 근대문화골목과
김광석 길이 있어 유명한 제4코스 삼덕봉산문화길이 인기가 많다.
이 밖에도 야경투어, 스탬프 투어, 맛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골목투어를
더욱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대구 중구청 골목투어 홈페이지(gu.jung.daegu.kr/new/culture)와
스마트폰 앱 ‘대구 중구 골목투어’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주소 대구시 중구 | 문의 053-661-2194
▷주변 관광지
대구수목원 쓰레기 매립장을 복토해 조성한 전국 최초의 도심형 식물원으로 23개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생태복원 우수사례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주소 대구시 달서구 화암로 342 | 문의 053-640-4100
두류공원 대구 중심부에 위치한 문화·교양·체육 시설이 고루 갖춰진 공원. 순환도로를 따라 걸으면
각종 기념비와 기념탑을 볼 수 있다.
주소 대구시 달서구 두류동 공원순환로 254 | 문의 053-625-1949
문경새재 도립공원은 예로부터 영남과 한양을 잇는 영남대로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갯길인
문경새재를 중심으로 백두대간의 주흘산과 조령산 일대의 원시림이 자연 그대로 보존된 청정 휴식공간이다.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주흘관·조곡관·조령관 등 3개 관문을 비롯해 많은 문화유적과 옛 선비들이
청운의 뜻을 품고 넘나들던 장원급제길, 책바위, 교귀정, 원터 등 선현의 발자취가 뚜렷하게 남아 있다.
또한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한 초대형 오픈세트장을 비롯해 옛길 박물관, 유스호스텔, 스머프 마을,
사계절 썰매장, 자연생태공원, 생태전시관 등이 있어 누구와 함께라도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제1관문인 주흘관에서 제3관문인 조령관까지는 약 6.5㎞로 왕복 4시간 정도 소요되지만 길이 완만하고
나무가 우거져 있어 가벼운 트레킹 코스로 인기다. 조곡관 뒤편의 약수터에서는 휴식을 취하기 좋다.
주소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 문의 054-571-0709
▷주변 관광지
문경온천 칼슘중탄산천과 알칼리성 온천수를 공급해 한 번의 입장으로 두 가지 온천을 즐길 수 있는
전국 유일의 복합보양온천. 2천5백 명이 동시에 입욕 가능한 대형 온천이다.
주소 문경시 문경읍 온천2길 24 | 문의 054-571-2002
대야산 용추계곡 문경8경 중 으뜸인 대야산 용추는 2단으로 이루어진 용추폭포가 명소 중의 명소로 꼽힌다.
특히 보기 드문 하트 모양의 소로 유명하다.
주소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 문의 054-550-8545
영덕 블루로드는 부산에서 강원도 고성에 이르는 688㎞의 해파랑길 일부분으로 영덕 대게공원을 출발해
축산항을 거쳐 고래불해수욕장에 이르는 약 64.6㎞의 해안길이다. 도보여행을 위해 조성됐다.
빛과 바람의 길, 푸른 대게의 길, 목은 사색의 길, 쪽빛 파도의 길 등 4개 테마별 코스가 있다.
코스별로 신재생에너지전시관·풍력발전단지·대탄어촌체험마을·대게원조마을·대진항·삼사해상공원 등
영덕의 크고 작은 명소를 전부 볼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아름답고 다채로운 볼거리가 가득하다.
블루로드를 완주하고 각 지역에 확인 스탬프를 찍어오면 완주를 인정하는 영덕엠블럼이 새겨진
완주메달을 준다고 하니, 여유 있는 일정으로 가족과 하루에 한 코스씩 완주하면 더욱 재미있을 듯.
시간이 없는 탐방객을 위한 베스트 추천코스는 영덕 블루로드 홈페이지(blueroad.yd.go.kr)를 참조하자.
주소 경북 영덕군 영덕읍 군청길 116번지 | 문의 054-730-6514
▷주변 관광지
영해관광시장 영덕군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동해안 일대에서도 거래량이 많은 전통시장.
1백50여 개 점포가 있으며 매월 5·10·15·20·25·30일에 장이 선다.
주소 영덕군 영해면 예주시장6길 15 | 문의 070-4105-9251
칠보산자연휴양림 객실 34개와 야영장 38개가 있는 휴양림. 등산로와 산책로, 작은 계곡,
멀리 보이는 바다, 목공체험장 등이 있어 온 가족이 즐기기에 최적이다.
주소 영덕군 병곡면 칠보산길 587 | 문의 054-732-1607
지리산은 2015년 관광 100선, 지리산 둘레길은 2012~2013년 관광 100선에 뽑힐 만큼
아름다운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길이다. 지리산 길은 지리산 둘레 3개 도(전북·전남·경남),
5개 시·군(남원·구례·하동·산청·함양) 16개 읍·면 80여 개 마을을 잇는 약 300㎞의 장거리 도보길이다.
총 22개 둘레길 코스 중에서도 경남 함양에 속해 있는 구간은 총 3개로 인월~금계, 금계~동강,
동강~수철 구간이다. 인원~금계 구간은 전북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와 경남 함양군 마천면 금계마을을 잇는
19㎞ 숲길로 제방길·농로·차도·임도·숲길 등이 전 구간에 골고루 섞여 있다.
금계~동강 구간은 경남 함양군 마천면 금계마을과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를 잇는 11.1㎞의 지리산 숲길로
산중 마을과 사찰을 지나 엄천강을 만나는 길이다.
마지막으로 동강~수철 구간은 경남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와 산청군 금서면 수철리를 잇는 1
2㎞ 길로 아름다운 계곡을 따라 4개 마을을 지나 산청으로 이어진다.
주소 경남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870 | 문의 055-964-8200
▷주변 관광지
함양 용추 오토캠핑장 캐빈하우스 7동, 캠핑센터 1동을 포함해 총 36면의 캠핑사이트와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소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758-2 | 문의 010-4860-5114
상림공원 통일신라시대 말에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림. 여름철 무더위를 식히기 위한
피서지로서뿐만 아니라 역사와 자연을 배우는 학습의 장으로도 그만이다.
주소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1047-1 | 문의 055-960-4276
울산 장생포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뛰놀던 고래도시, 옛 고래잡이 전진기지로 유명하다.
국내 처음으로 고래문화특구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고래관련 인프라를 구축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포경이 금지된 이래 사라져가는 포경 유물을 수집, 보존 전시하고 고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고래박물관은 어린이체험관·포경역사관·귀신고래관으로 조성되어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래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고래바다 여행선’은 3가지 코스로 운행되는데
장생포고래문화특구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통해 이용가능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돌고래 수족관인 고래생태체험관은 입체영화 속에서 고래를 만날 수 있는
4D영화관과 체험동물원도 있어 어린이에게도 인기 만점이다. 그리고 고래생태 체험공원인
‘고래문화마을’은 장생포옛마을, 고래조각공원, 수생식물원 등의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소 울산시 남구 장생포 고래로 244 | 문의 052-256-6301
▷주변 관광지
울산대공원 나비식물원과 같은 자연생태 공간과 아쿠아시스·놀이시설·공연장· 전시관·운동장 등
다양한 문화시설이 있어 가족과 함께 찾기 좋다.
주소 울산시 남구 대공원로 94 | 문의 052-271-8816
울산 12경 가지산, 간절곶 일출, 강동주전해안 자갈밭, 대왕암 송림 외 8곳은
울산에서도 절경으로 손꼽힌다. 산과 해안, 숲으로 시원한 여름여행 코스로 좋다.
주소 울산시 울주군 상북면 외 | 문의 052-229-3853
메타세쿼이아길 양쪽으로 길게 늘어선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이 장관을 이룬다.
주소 담양군 담양읍 메타세쿼이아로 12 | 문의 061-380-3149
무안생태갯벌센터 생태갯벌전시관과 직접 갯벌체험을 할 수 있는 생태공원으로 갯벌을 체험할 수 있는
주소 무안군 해제면 용산길 140 | 문의 061-450-5633
진도대교 진도군 군내면 녹진과 해남군 문내면 학동 사이에 놓인 길로 484m, 폭 11.7m의 규모다.
주소 진도군 군내면 진도대로 8479 | 문의 061-542-0088
주소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길 37-1 | 문의 061-544-0400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전시·보존·연구하는 고고·역사박물관.
주소 제주시 일주동로 17 | 문의 064-720-8000
주소 제주시 관덕로 14길 20 | 문의 064-752-3001
'국내여행 좋은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욕지도 여행 1 (0) | 2019.07.25 |
---|---|
동기생부부들과 함께 떠나는 가을나들이 (0) | 2017.10.05 |
춘천을 제대로 보려면-김우성 여행작가 (0) | 2016.07.20 |
백제문화유적지구 탐방 (0) | 2016.04.23 |
우포늪 (0) | 201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