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의 <월왕구천세가>에 나오는 오나라와 월나라간의 전쟁사에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는 말이 나온다,
직역하면 땔나무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 원수를 갚기 위해 분발하는 것이나,
큰 뜻을 이루기 위해 분투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인데 이 말의 유래를 알아보자.
사진 위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월왕 구천, 오왕 부차, 복수를 불태우는 상담과 와신의 그림
춘추 말기에 연이어 패자로서 춘추 오패의 반열에 올라 춘추시대의 대미를 장식한
오(吳)나라와 월(越)나라는 이웃하고 있으면서도 원수처럼 서로 으르렁대며 싸우는 사이였다.
오나라의 왕 합려(闔閭)는 《손자병법(孫子兵法)》의 저자인 손무(孫武)와 충신 오자서(伍子胥)의
보필을 받아 당시의 제후국들을 굴복시키고 춘추 오패의 반열에 올랐다.
합려 19년(BC496), 합려는 월나라를 쳤다가 월왕 구천(勾踐)에게 패하고,
손가락에 입은 상처가 원인이 되어 그만 죽고 말았다.
합려는 태자 부차(夫差)에게 “월나라를 절대로 잊지 말라.(必毋忘越)”는 유언을 남기고 눈을 감았다.
2년 후 월왕 구천은 부차가 밤낮으로 병사들을 훈련시킨다는 말을 듣고 대부 범려(范蠡)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부차를 선제공격했다가 도리어 대패하고 말았다.
부차는 승세를 몰아 월나라의 수도 회계(會稽)를 포위했다.
구천은 패잔병 5,000여 명을 데리고 회계산(會稽山) 꼭대기에 피신하여,
백비(伯嚭)에게 후한 예물을 바치고 강화를 요청했다.
나라를 바치고 오나라의 신하가 되겠다는 것이 강화의 조건이었다.
부차는 오자서의 반대를 묵살하고 백비의 계책에 따라 월나라와 강화한 후,
구천을 오나라에 불러 자기의 노예가 되도록 했다.
이를 ‘회계지치(會稽之恥)’, 즉 회계의 치욕이라 한다.
구천은 나라의 정치를 대신들에게 맡기고 범려와 함께 오나라에 가서
3년 동안 부차의 마구간에서 말을 먹이는 일을 했으며,
부차가 병이 들자 부차의 변까지 맛보아 가면서 몸소 간호하기도 했다.
부차는 충신들의 반대를 무시하고 구천을 석방했다.
월나라로 돌아온 구천은 몸을 수고롭게 하고 속을 태우면서,
자리 옆에 쓸개를 놓아두고 앉거나 누우면 쓸개를 바라보았으며 먹거나 마실 때 또한 쓸개를 맛보며
‘너는 회계의 치욕을 잊었느냐?’고 스스로에게 말하면서 설욕의 강한 의지를 불태웠다.
(吳旣赦越, 越王句踐反國, 乃苦身焦思, 置膽於坐, 坐臥卽仰膽, 飮食亦嘗膽也. 曰, 汝忘會稽之耻邪.)
구천은 손수 밭 갈고 부인은 길쌈을 하였으며, 고기를 먹지 않고 현인을 찾고 빈객을 우대하면서
백성들과 고락을 같이했다. 문종(文種)에게는 나라 살림을 다스리게 하고, 범려에게는 군대 양성을 맡겼다.
구천은 10년 계획을 세워 생산을 장려하고 물자를 모으며 전쟁 준비를 했다.
오왕 부차가 제(齊)나라를 공격하면서 월나라에 참전을 요청하자,
군사를 파견하여 오왕을 도와 그의 환심을 사 두기도 했다.
그런 후에 구천은 오나라의 내부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작업을 시작했다.
먼저 뇌물을 좋아하는 오나라의 대부 백비를 매수했으며, 부차에게 미인 서시(西施)를 바쳤다.
오나라에는 간신배가 득세하였으며, 자주 충간을 하던 오자서는 왕의 역린(逆鱗)을 건드린 결과로
왕의 의심을 사게 된 데다, 백비의 모함까지 받아 왕이 내린 칼을 받고 자결했다.
오자서가 죽은 다음 해, 부차는 제나라를 공격했으나 승리하지 못했다.
그 후 2년 뒤에 오왕 부차가 정예부대를 이끌고 북정을 하고, 황지(黃池)에서 제후들과 회맹하여
한창 그의 위엄을 보이고 있는 동안, 구천은 오나라가 비어 있는 틈을 타 오나라에 침입하여
태자를 잡아 죽였다. 제후들과 회맹하는 자리에서 급보를 전해 들은 오왕은 모든 사항을 극비에 부치고,
서둘러 회맹을 마친 다음, 즉시 월나라에 사자를 보내 강화를 요청했다.
구천은 범려와 의논 끝에 강화를 수락하기로 했다.
북정을 하러 갔던 오나라의 정예부대가 돌아와 일전을 벌일 경우 승패를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강화를 맺은 후, 월나라는 계속 군비를 확충했다.
하지만 오나라는 잦은 북정으로 군사들이 피로했기 때문에 휴식이 필요했으며,
그동안 많은 전쟁을 겪느라 병력의 손실도 적지 않았다.
4년 후, 월나라는 다시 군대를 일으켜 오나라를 공격하여 도처에서 오나라의 군대를 격파하고,
3년에 걸쳐 오나라의 수도를 포위했다. 부차는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어 구천에게 항복했다.
월왕 구천은 오왕 부차를 가엾게 여겨 항복을 받아들이려 했다.
“회계의 일은 하늘이 오나라에게 월나라를 준 것인데 오나라가 받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오나라를 월나라에게 주는 것이니 하늘의 뜻을 거역해서는 안 됩니다.”
이렇게 범려가 반대하고 나섰다. 부차는 자살했다. 구천은 백비를 잡아 죽였다.
백비가 그 임금에게 충성하지 못하고 다른 나라로부터 많은 뇌물을 받으며 내통하였기 때문이었다.
월나라는 오나라를 평정하고 그 여세를 몰아 북진하여 회하(淮河)를 건너
서주(徐州)에서 제후들과 회맹하고, 춘추시대 최후의 패자가 되었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월왕구천세가(越王勾踐世家)〉》에 나온다.
일반적으로 《사기 〈월왕구천세가〉》에 나오는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의 복수를 위한 노력에서
‘와신상담’이 유래했다고 알고 있는데, 사실 이 전적에는 구천이 쓸개를 맛보면서 복수의 칼날을 갈았다는
‘상담’에 대한 이야기는 있지만, 부차가 땔나무 위에 누워 복수의 칼날을 갈았다는
‘와신’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와신’에 대한 이야기는 《십팔사략(十八史略)》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부차는 복수에 뜻을 품고 아침저녁으로 섶에 누워 출입할 때마다 사람들에게 시켜 외치게 했다.
“부차야, 너는 월나라 사람들이 너의 아버지를 죽인 것을 잊었느냐?”
(夫差志復讐, 朝夕臥薪中, 出入使人呼曰, 夫差, 而忘越人之殺而父耶.)」
‘상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구천은 자기 나라로 돌아와 자리에다 쓸개를 매달아 놓고 누우면 쓸개를 쳐다보고 맛을 보며 말했다.
“너는 회계의 치욕을 잊었는가?”
(勾踐反國, 懸膽於坐, 臥卽仰膽嘗之曰, 女忘會稽之恥耶.)」
이를 보면 ‘와신상담’의 출전은 《십팔사략》이고, 전고는 《사기 〈월왕구천세가〉》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말이 될 것이다.
- 인터넷 나무위키에서
'알면 좋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0) | 2019.01.14 |
---|---|
마늘을 먹어야하는 이유 (0) | 2018.08.29 |
다시 읽어보는 한일합병 조약 (0) | 2018.04.29 |
하나회 이야기 (0) | 2018.04.21 |
시진핑 중국 당서기 아버지의 교훈 (0) | 2018.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