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의 유래由來와 풍속風俗, 놀이, 음식飮食
설날의 유래由來와 어원語源
"설"은 새해의 첫 시작始作이다. 설은 묵은해를 정리整理하여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計劃과 다짐으로
새출발出發을 하는 첫날이다. 이 "설"은 순수純粹 우리말로써 그 말의 뜻에 대한 해석解釋은 구구절절句句節節하다.
▶그 중 하나가 '서럽다'는 설說이다.
선조宣祖 때 학자學者 '이수광'이 '여지승람輿地勝覽'이란 문헌文獻에 설날이 '달도일怛忉日'로 표기表記되었는데,
'달'은 슬프고 애달파 한다는 뜻이요, '도'는 칼로 마음을 자르듯이 마음이 아프고 근심에 차 있다는 뜻이다.
'서러워서 설, 추워서 추석秋夕' 이라는 속담俗談도 있듯이 추위와 가난家難속에서 맞는 명절名節이라서 서러운지,
차례茶禮를 지내면서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절懇切하여 그렇게 서러웠는지는 모르겠다.
▶다음은 '사리다(신愼 삼가다)의 신愼에서 비롯했다는 설說이다.
각종 세시기歲時記들이 "설"을 신일愼日이라 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記述한 것도 몸과 마음을 바짝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의 첫 시작을 '경거망동輕擧妄動' 하지 말라는 까닭이다. 옛날 문헌文獻들에 정초正初에
처음 드는 용辰띠, 말午띠, 쥐子띠, 돼지亥띠날 그리고 2월 초하룻날이 신일愼日로 적혀 있음을 근거根據로 하여
육당 최남선이 풀이한 기원설起源說이다.
새해부터 처음 맞이하는 십이일을 '상십이지일上十二支日'이라 하여 여러가지를 삼가며 조심할 것을
가르친 풍속風俗이 있는 걸 볼 때, 매우 타당妥當한 설說이다.
▶"설"의 어원語源에 대해 또 다른 견해見解는 나이를 댈때
몇 살 하는 '살'에서 비롯된 연세설 年歲說이다.
한국말에 막대莫大한 영향력影響力을 끼친 우랄알타이어계에서 해가 바뀌는 연세年歲를 '살(산스크리트語).
잘(퉁구스語), 질(몽고語)'이라 한다. 산스크리트 말에서 '살'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그 하나는 해가 돋아나듯 '새로 돋고 새로 솟는다.'는 뜻이 그 하나요,
다른 하나는 시간적時間的으로 이전以前과 이후以後가 달라진다는 구분區分이나 경계境界를 뜻하고 있다.
이 모두 정초正初와 직접直接 연관聯關되고 있다. 중국中國의 어원語源 사전辭典인 '청문엽서'에 보면
연세年歲를 나타내는 '살', '잘'은 세世, 대代, 세歲, 수壽를 뜻하고,
또 대나무나 풀이나 뼈마디를 뜻하는 절節의 어원語源이라고도 했다.
'몇 살, 몇 살'하는 '살'이 그 연세年歲의 매듭節을 짓는 정초正初를 나타내는 설說로 전화轉化 됐음직하다.
▶또한 "설"에 대한 가장 설득력說得力 있다는 견해見解는 '설다, 낯설다'의 '설'이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왔다는 설說이다.
'처음 가보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곳이며, 낯선 사람이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精神 문화적文化的 시간時間의 충격衝擊이 강强하여서 '설다'의 의미意味로 낯은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정착定着되었다.곧 묵은해에서부터 분리分離되어 새해로 통합統合되어 가는
전이轉移 과정過程에 있는 다소 익숙치 못하고 낯선 단계段階라는 의미意味이다.
따라서 "설"은 동지冬至로부터 시작始作하는 마무리 시기時期에서부터 새해를 맞이하는
새 시작始作의 '설날'을 정점頂點을 하여, 그리고 '상십이지일上十二支日'과
정월正月 대보름의 대단원大團圓까지를 한 선상線上에서 보아야 제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어원설語源說을 종합綜合해 볼때 "설"은 묵은해의 모든 일을 잊어버리고 새롭게 한 해가 시작始作된다는
의미가 있으며, 몸과 마음을 삼가고 바른 가짐으로 맞이해야 하는 의미를 지닌 날이다.
설날의 풍속
차례茶禮 설날 아침 제일 먼저하는 일이 조상님들에게 드리는 차례茶禮다.
차례는 간략簡略한 제사祭祀를 뜻하는데 '차茶를 올리는 예禮"라는 뜻에서 '차례茶禮'라 했다.
설 차례茶禮는 설날 아침 조상에게 올리는 세배歲拜의 의미意味도 있다. 차례 상을 차리는 방법은
가가례家家禮라 하여 지방地方이나 가문家門에 따라다르다. 설에는 밥 대신 떡국을 제수祭需로 올린다.
세배歲拜 세배歲拜는 설날 아침 차례가 끝난 후 웃어른에게 절을 올리는 새해 첫 인사이다.
세배하면서 덕담德談을 나누게 되는데, 옛날에는 세뱃돈 대신에 덕담을 주고 받았다.
덕담德談은 주로 과거형過去形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들면, "올해 아들을 낳았다지!" "시험에 합격했다면서!"와 같이 과거형의 말을 통通해
소망所望하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기원祈願했다.
설빔 설날 아침에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이 옷을 '설빔'이라 한다.
설빔은 나이와 처지處地에 맞게 마련했다. 형편形便이 좋으면 옷 일습(한 벌)을 장만 했지만,
그렇지 못하면 버선이라도 마련했다. 설빔에는 묵은해의 일들은 떨쳐버리고
일 년 동안 좋은 일만 생기기를 바라는 기원祈願과 마음을 담았다.
복조리福笊籬와 상징象徵 새해의 복福을 담는 징표徵標가 복조리다. 조리笊籬는 쌀로 밥을 지을 때
모래와 잔돌을 걸러내는 도구道具다. 요즈음에는 드물지만, 예전에는 설날 새벽에 복조리를
팔러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다. 새해에는 복조리 장수에게 조리를 사서 벽이나 문 위에 걸어두었다.
이러한 풍속風俗은 먹을 쌀이 없어서 굶을 때 많았던 시절時節, 설날에 산 복조리로 일 년 내내 쌀을
일 수 있고 한 해 동안 먹을 식량食糧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 달라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
복조리福笊籬는 일찍 살수록 길하다고 여겨 새벽에 대문에 던져 놓기도 했다.
그리고 복福을 사는 것이라 하여 값을 깎거나 물리지 않는 것이 상례常例였다.
설날에 하는 놀이
윳놀이 편便을 갈라 윳으로 승부勝負를 겨루는 놀이. 삼국시대三國時代 이전부터 전해오는
한국 고유固有의 민속民俗놀이로 대게 정월正月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즐긴다.
부여족夫餘族 시대時代에 5가지 가축家畜을 5부락에 나누어주어 그 가축家畜들을 경쟁적競爭的으로
번식繁殖시킬 목적目的에서 비롯된 놀이라고 하며,
그에 연유緣由하여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윳"은 소, "모"는 말에 비유比喩된다.
연날리기 연날리기는 지금도 행해지는 민속民俗놀이로 오락성娛樂性과
민족民族신앙信仰적인 양면성兩面性을 지닌다. 민족 신앙적인 놀이로는 '액막'을 들 수 있는데
연을 띄울 때 '송액영복送厄迎福이란 글자를 써 붙이는데 이것은 질병疾病, 사고事故, 흉년凶年 등
나쁜 액운厄運은 멀리 사라지고 복福이 찾아오도록 비는 마음에서다.
연이 높이 오르면 오를수록 연줄이 길게 풀려나가는데, 그 긴 줄의 길이만큼
오래 살기를 영원永遠한데서 생긴 놀이다.
널뛰기 큰 명절名節 때 부녀자들이 즐기는 놀이. 도판희(널뛰기)라고도 한다.
마당에 멍석을 둘둘 말아 굄목으로 하고 그 위에 긴 널판을 가로 놓은 다음,
두 사람이 판자 양쪽에 마주 올라서서 번갈아 튀어 올랐다가 발을 구르면 상대방相對方은
그 반동反動으로 튀어 오른다. 처음에는 잘 구르지 않아 널 한복판에 한 사람이 올라 앉아 구르는 편으로
이쪽저쪽 몸무게 힘을 더해주어 구르는 사람이 힘차게 뛰어오를 수 있게 도와주었다.
뛰는 사람들은 높이 뛰어 올랐다가 떨어지는 힘으로 널판을 힘껐 굴러 상대편相對便이 잘 뛰어오르게 하였다.
가장 높이 뛴사람이 이기거나 힘껏 굴러 상대편을 떨어뜨리면 이기게된다.
전설傳說에 따르면 높은 담장 저편에 갇혀 있는 옥중獄中의 남편男便을 보려는 아내가
다른 죄인의 아내를 꾀어 둘이서 널뛰기를 하면서 그리운 남편男便의 얼굴을 볼 수 있었다하며,
또 항상 울안에만 있는 여인들이 이 놀이를 창안創案하여 높이 올라갔을 때,
담장 밖의 세상世上을 살피고 외간남자의 모습을 엿보기도 하였다 한다.
팽이치기 팽이는 축軸을 중심으로 둥근동체가 회전운동을 하는 완구玩具이다.
팽이치기의 시초始初는 도토리 따위를 돌려서 장난한 놀이 같은데, 이것을 연구硏究하여
발달發達한 것으로 추측된다. 중국에서는 당唐나라 때 성행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것이 고려를 거쳐 일본으로 전해져 일본에서는 팽이를 고마高麗라고 한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볼 수 있으며 종류種類도 나무, 대나무, 금속金屬, 유리 등이 있고 모양도 다양하다.
팽이치기 하는 방법方法 옛날 시골에서는 아이들이 나무로 팽이를 직접 깎아 만들어 추운 겨울 강가,
연못, 논바닥 등의 얼음 위에서 팽이치기를 하였다. 팽이를 치는 채는 40~50cm의 싸리나무 같은
막대기 한끝에 40~50cm의 끈을달아 팽이가 도는 방향으로 때리면 빠른 속도로 오래 돈다.
팽이치기에는 5~10m의 목표지점을 설정設定해 놓고 팽이채로 정확正確하게 팽이의 허리를 치면서 빨리 돌아오기를 겨루는 놀이, 돌고 있는 팽이를 맞부딪쳐서 상대편相對便 팽이를 쓰러뜨리는 팽이 싸움놀이,
아래위로 총알을 박은 팽이를 팽이 줄로 감아 머리 위로, 또는 팔을 옆으로 비켜서
마치 야구의 투수가 던지는 식으로 팽이를 던져 돌려 서로 맞부딪치게 하는 팽이 찍기 등의 놀이 방법이 있다.
제기차기 제기차기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대古代 중국中國에서 무술武術을 연마硏磨하기 위하여
고안考案된 축국蹴鞠놀이에서 연유한다고 하며, 그 시기를 중국의 전설적傳說的인 왕王 황제皇帝 때로 보는
견해見解가 있다. 제기는 구멍이 뚫린 엽전을 얇은 미농지美濃紙 따위로 싸고
종이의 두 골을 한구멍의 같은 방향方向으로 꿰어서 그 끝을 갈래갈래 찢어서 만든다.
오늘날은 비닐로 된 상품을 많이 쓴다. 제기차는 방법에는 발 들고차기, 양발차기, 외발차기, 뒷발차기 등이 있다.
설날에 먹는 대표적代表的음식飮食
▸떡국 ▸동그랑땡 ▸잡채 ▸갈비찜 ▸삼색나물 ▸만두국 ▸경단 ▸수정과약과 ▸강정과 식혜
-인터넷에서 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