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에 담긴 깊은 뜻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아리랑'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1위에 선정됐다.
어느 나라, 어느 민족에게나 그 민족의 영혼을 사로잡는 노래가 있다.
언제부터 누가 불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우리는 아리랑 민족이라고 불릴 만큼
지구촌 어느 곳에 둥지를 틀고 살아가든지, 아리랑 노래만 나오면
가슴이 뭉클해지고 눈시울이 붉어진다
우리들은 겨레의 울분과 억눌린 민족의 한을 표출하는 저항의 노래라고
알고 있었지만 가사로 전해지는 깊은 뜻이 따로 있다.
바로 이 아리랑이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작곡가들로 이루어진
<세계 아름다운 곡 선정대회>에서 지지율 82%라는 엄청난 지지를 받아 1위가 된 것이다
선정인들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동을 받았다고 하는데 선정인 중에서 단 한명의 한국인도 없었고
이들 모두 처음 듣는 곡이었다고 하는데 연주는 전자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이 했다.
아래의 영상은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인사동 쌈지길에서 플래시몹 형태로 연주된 곡이다.
젊은이들이 우리의 맥을 이어가고 전통을 존중하는 마음 눈물나도록 고맙다.
우리 모두가 아리랑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의미를 가슴에 새겨두었으면 좋겠다.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十里도 못가서 발병난다 ”
많은 사람들이 아리랑을 연가戀歌로 잘못 알고 있는데 이 곡은 단순한 연가戀歌가 아니라,
깊고 심오한 정신세계를 표현한 노래다.
‘아리랑’은 ‘나 아我’ ‘이치 리理’ ‘즐거울 랑朗’이다.
참 나를 깨닫는 즐거움을 노래로 승화시킨 것.
“참 나를 깨닫는 즐거움이여, 참 나를 깨닫는 즐거움이여 ”
참 나를 깨닫기 위해서는 인생에 어려움과 고비가 있다.
그 어려움과 고비를 아리랑고개라고 표현하여 그 고개를 넘어간다는 것은
참 나를 깨닫기 위해 어려운 위기와 고비를 극복한다는 의미.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참 나를 깨닫기를 포기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십’은 동양에서는 ‘완성’을 의미하는 것이고 ‘십리도 못가서 발병이 난다’는 것은
인생의 목적인 완성을 이루지 못해 장애가 생긴다는 것이다.
참 나를 깨닫기를 포기하는 사람은 완성을 이루지 못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렇게 아리랑 속에는 깨달음과 인간완성을 향한 순수한 열망이 녹아들어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가사로, 가락으로 변형되어 전래되어 왔지만,
인간의 진정한 의미와 삶의 가치가 담겨 있기에 수천년 동안 우리의 입으로, 가슴으로 전래된 것이다.
‘아리랑’에는 깨달음이 있다.
‘아리랑’에는 순수한 영혼에 대한 열망이 있다.
‘아리랑’에는 한민족의 혼이 있다.
이 의미를 가슴에 담고 아리랑을 불러보시라...
우리 안에 ‘참 나의 환한 빛’이 있음을 느낄 것이다.
인생의 진정한 희망을 깨닫게 될 것이며 그때 ‘홍익인간’의 의미를 알게 될 것이다.
-------------------------------------------------------------------------------------------------------------------------
아리랑의 종류
평안도-서도아리랑 | 강원도-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 함경도-함경도아리랑. 단천아리랑. 어랑타령
경상도-밀양아리랑 | 전라도-진도아리랑 | 경기도-긴아리랑 | 충청도-충청도아리랑
중국 땅-독립군 아리랑 | 러시아 땅-사할린 아리랑
죽로산방에서 서pd
'알면 좋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 해저의 보물 (0) | 2016.05.25 |
---|---|
주기환 박사의 건강강좌 (0) | 2016.01.20 |
스피루니나의 효능과 복용법 (0) | 2015.12.24 |
한국지페 변천사 (0) | 2015.11.23 |
천연 소화제 12가지 (0)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