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을만한 칼럼

이어령 교수 칼럼 _긍정의 힘

sunking 2014. 11. 10. 14:47

韓國은 不幸을 幸福으로 바꾸는 나라

_이어령

 

한국은 불행을 행복으로 바꾸는 특이한 DNA가 있는 나라이며 쓰레기 매립장에서 생태공원으로 바뀐 난지도,

점점 세계가 환경문제로 목소리가 높아지는데 대한민국 만큼 자연을 사랑했던 나라는 없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짚신을 만들 때 절대 튼튼하게 만들지 않았습니다.

혹시 밟아도 벌레가 죽지 않게 만드는 것이지요.

세상에 그 만큼 자연을 사랑한 민족이 있었을 까요. 저는 봄에 알까는 벌레가 죽을 까봐

서양에서 구두에 스펀지를 댔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없습니다.”

 

“고수레란 것도 있지요. 산이나 들에서 음식을 먹을 때, 세끼 밥도 못 챙겨 먹던 사람들이

벌레랑 같이 먹고 살자고 음식을 조금씩 던집니다.

까치밥은 어떻습니까? 시골에서 아이들이 감나무를 따면 우리네 할머니들은 말합니다.

까치도 먹고 살아야제. 하나 내비두야 된다이.... ...우리는 그런 민족입니다."

 

"어디를 파봐도 젊은이들의 피가 스며 있는 나라.

하지만 지금은 그 위에 젊은이들의 웃음과 노래가 있는 나라.

올림픽이 서울에서 개최되기 전, 세계는 한국을 일본의 속국이었던 나라,

그 전에는 중국의 속국쯤으로 생각하던 나라였습니다. 하지만 어땠습니까?

사람들은 한국의 올림픽을 그렇게 평가했습니다. 독일의 조직력, 일본의 단결력, 할리우드의 화려함,

러시아의 집단력이 모두 한데 모여져 있었다고."

 

서울올림픽의 개회식은 신의 합작품이었습니다. 올림픽 하루 전날 억수같이 비가 쏟아졌다고 합니다.

개회식의 프로그램은 2/3가 비가 오면 할 수 없는 것들이었지요.

위원장도, 올림픽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도 마음이 아팠답니다.

우리는 비가 오면 할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다고. 아직 가난하기에 비가 내리면 비를 대비할 것이 없다고.

하지만 결국 그날은 보란듯이 햇볕이 쨍쨍거리며 공중에 한국의 상징을 그릴 수 있었지요.

 

그리고 유명한 소매치기입니다.

인천에서 소매치기들이 전부 모인다는 연락을 듣고 경찰서에는 비상이 났습니다.

정보를 듣고 경찰이 몰래 잠입했더니 뜻 밖의 소리가 나왔더랍니다.

 

“우리가 아무리 소매치기지만 대한민국이 겨우 여기까지 와서 올림픽을 하게 됐는데

우리도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꺼다. 이번에 외국인 관광객의 주머니를 터는 녀석은

영원히 소매치기 업계에서 매장시키키자.”

 

4.19 이야기도 있습니다

 

“예전 명동에는 유명한 걸인 한분이 있었습니다. 속된말을 쓰자면 앉은뱅이였지요.

명동에서 그 걸인을 못 만나면 명동을 간게 아니라고 할 정도로 예술가나 문인들 사이에선 유명했답니다.

그리고 그 분을 지나칠 때는 한 두푼을 보태 드리곤 했지요.

어느날, 4.19때문에 의연금을 모으고 있던 때에 저 멀리서

그 분이 또 돈을 달라고 열심히 이곳으로 오고 있었습니다.

아무리 걸인이라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구걸하러 오다니 역시 걸인은 걸인이구나 하며 실망하여

돈을 주려던 찰나, 그 걸인이 의연금 통 속에 모아온 돈을 집어 넣었습니다.

젊은 나이에 저도 모르게 눈물이 흐르더군요. 평생 구걸만 하던 사람에게 그 무엇이

이 사람으로 하여금 통속에 돈을 넣게했나....“

 

대한민국은 망하지 않는다. 절대로 이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

저런 사람들이 이 나라를 버티고 있다.

잘난 사람, 지식인들이 아니라 바로 저런 사람들이 이 나라를 진정으로 버티고 있다... ...

 

우리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최초의 역사인 폭력과 무력으로 점철된 욕망의 시대도 지났고 이성의 시대, 합리주의 시대도

이제 지나가려 하며 마지막 시대인 자기실현의 시대, 남과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목숨마저 걸고

노력하는 이 시대야 말로 대한민국의 모든 단점이 장점이 되는 시대입니다.

 

단점을 장점으로, 불행을 행복으로 바꾸는, 한국인의 지혜....

모음 하나만 바꾸면 부정이 긍정이 됩니다.

씨레기(표준어는 시래기)국이 그렇습니다.

세계 어느나라도 비틀어 말라 빠진 야채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그냥 버리는 야채. 그 쓰레기를 씨레기로 만듭니다.

부정을 긍정으로 바꿔 어떤 음식보다 비타민이 풍부한 요리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누룽지도 마찬가지지요.

밤이 타버렸다는 그 '부정'을 누룽지라는 '긍정'의 문화로 만들어 냅니다.

6.25때도 미군이 들어왔을 때도. 질서한 한국인을 보며 미군은 경멸을 던졌습니다.

하지만 얼마 후 그 경멸은 존경으로 바뀌었지요.

자기들이 버린 맥주병을 재활용해서 집을 만들고, 사람을 죽이는 포탄을 녹여

사랑의 종을 만들어 교회로 가져가고 알자국이 남은 헬멧을 두레박으로 바꿔 생명수를 길어 나릅니다.

 

그것이 대한민국이요. 그 나라가 우리나라입니다.

자랑스럽지 않습니까!

 

'읽을만한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ding의 기술  (0) 2015.02.16
한진그룹...암운이 내리는가?  (0) 2014.12.25
영화 '명량유감'  (0) 2014.10.21
국회의원 김 현의 맨얼굴  (0) 2014.10.06
우리나라는 어떻게 산업을 부흥시켰나  (0) 2014.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