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현재 즐기고 있는 밸리댄스라는 춤은...
제사의식과 연관된 토템 신앙에서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어머니신을 숭배하는 종교적 의식에서 여성들은 다산을 기원하기 위해 그들의 여신을 찬양하는
춤을 추었고 이러한 춤이 현대 벨리댄스의 기초를 이루게 된 것이다.
이러한 기원…
벨리댄스는 야하다라는 선입견을 타파하기 위해 애써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기원일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토템신앙에 주목하자.
그렇다면 벨리댄스만큼이나 오래된 한국의 오천년 이상의 전통춤은 과연???
그렇다.. 모든 전통성을 갖고 있는 무용은 기우제를 위한, 가족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기 위해서 였을 것이다.
여기서 벨리댄스는 아랍 지역의 오천년이 넘는 전통춤 중 하나이다.
아랍의 기후는 사막기후가 대부분이며 후덥지근하며 간헐적으로 내리는 비는 간절하다.
모래는 뜨겁고 하루 하루 아이들은 급속도로 죽어나간다. 이러한 현실에서 발을 빠르게 움직여서 복부를
흔들어 주는 춤의 의미는 그야말로 신성하며 간절한 기원이었을 것이다.
근본적으로 다산을 기원하기 위한 춤의 목적상 이 춤은 지극히 성적 관심이 강조되었다.
여성성을 강조하는 힙, 복부, 가슴은 여성의 다산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다산을 기원하는
이 춤 역시 이러한 신체 부분의 움직임을 중요시 했기 때문이다.
다신교적 숭배의 하나로 이 춤을 평가했기 때문에 일신교에서는 벨리댄스를 금지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금기는 오래가지 않았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행동으로 조화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즉, 이러한 성적 자극을 위한 춤은 전통, 종교적 규칙, 지역적 음악과 춤에 따라서 점차 변화되었고 결국 Oriental Dance가 된 것이다.
밸리댄스라는 단어는...
우리가 흔하게 발음하는 Bellydance는 복부를 지칭하는 영어식 은어이다. 흔히 아랍어로는 복부댄스인 Raks sharki 라고 하거나 동양의 춤이라고 해서 Oriental Dance 혹은 Middle Eastern Dance라고 한다.
우리가 외국의 자료를 인터넷에서 찾아보게 되면 Bellydance라는 용어보다는 Raks sharki나
그외 단어들은 입력했을 때도 많은 자료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밸리댄스가 왜?....
타 문화로 전파가 되었는가??
여러가지 논의가 있지만 그 중 하나가 집시의 역할이라는 것이다. 과거 인도 지역은 제사 의식에서 벨리댄스가 추어졌던 지역이다. 이 지역에 살던 집시들은 터키, 이집트 등 세계 각국으로 벨리댄스가 전파하는 큰 역할을 수행했다.(물론, 태초의 벨리댄스의 기원이 인도라는 것은 아니다. 그 이전의 전파는 전쟁의 영향으로 인해서 였다는 근거가 있다. 이것은 대중화된 스타일이 전파된 경위이다.)
5세기 인도 지방의 집시들은 지역적 압박을 받았고 그 결과 아프카니스탄과 페르시아 지역을 거쳐 북쪽으로 터키와 유럽 남쪽으로는 이집트와 북아프리카로 이동을 했다고 한다. 각각의 국가로 이주한 집시들의 벨리댄스는 각 나라의 문화속에서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했다고 한다.
[터키로의 전파] 1453년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 이후 집시들은 터키 이스탄불에 정착하기 시작했다.(지금도 벨리댄스는 터키가 아닌 이스탄불의 전통춤으로 알려져 있다.) 그 당시 이들은 술탄의 결혼이나 왕의 계승 의식을 축하나는 오스만 제국의 축제에서 화려한 공연을 했다고 한다.
[이집트로의 전파] 대중의 축하의식, 결혼식에서 공연하게 되었고 공연장소도 커피가게, 시장 등 사람들이 많은 모이는 곳이 되었다. 이러한 이집트 지역의 집시들은 ‘Ghawazee’라는 이름으로 불렸다.(이 명칭은 여러 해석이 있는데 궁중에서 춤을 췄던 벨리댄서들을 보고 타국의 사신들인 특이하고 멋있다라고 해서 Ghawazee(가와지)라고 호칭했다. 라는 말도 있다
여기에서 집시들의 공연을 보고 사람들이 던져준 동전을 집시들은 도둑맞지 않기 위해 의상에 꿰맸다고 한다.
이것이 오늘날의 힙 스카프에 동전이 달려 있는 유래이다. 하지만 가와지 댄서들은 종교적인 불만으로 인해
1834년 카이로에서 법률적으로 제한된다. 다행히 1849년에서 1856년 사이 금지는 철폐되나 이 춤은 공연 형태나 새로운 카바렛 스타일로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세기가 바뀌면서 벨리댄스라는 이름이 주어지게 되었다.
[유럽과 미국으로의 전파] 중동으로의 관광객이 늘어가면서 유럽과 미국지역으로 전파되기 시작되어 런던, 파티, 시카고에서 흥행하기 시작하였다. 1893년 Chicago World’s fair에서 알제리의 마을을 재현하는 박람회에서 ‘Little Egypt라는 댄서가 공연을 함으로써 엄청난 수익과 관심을 가져왔으나 기독교의 탄압은 만만치 않았다.
현대에 들어와 미디어의 보급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벨리댄스가 보급되고 많은 국가들과의 교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는 벨리댄스가 기원을 넘어서 더 이상 아랍의 이집트의 전유물이 아닌 전세계 많은 여성들의 공유물이 된 것이다.
밸리댄스의 기원과 역사
밸리댄스의 기원을 논하기는 어렵다.
통상 그리스, 이집트, 터키 등에서 종교적으로 행해지던 어떤 춤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유럽과 아랍의 여러나라들에서는 다른 식으로 이름을 붙여 사용했다.
프랑스에서는 'danse du ventre' 또는 위(stomach)의 춤이라고 불렀으며 그리스에서는 터키의 전통 리듬이기도 한 'cifte telli'로, 중동에서는 '동양의 춤(dense orientale)로 터키에서는 'Rakkase'로 이집트에서는'Raks Sharki'로 불렀다. 이런 명칭에서 판단해 보건대 밸리댄스는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지역으로 부터 영향을 받아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다.
20세기초 시카고 무용박람회를 통해 이춤이 비로서 미국에 알려 졌으며 이때 프랑스식의 이름 'danse du ventre'는 'belly dance'로 바뀌었다.
1. 이 춤은 전통적으로 종교적, 그리고 에로틱한 부분과 연관있다.
이런 이유때문에 밸리댄스는 경멸과 멸시의 대상이였던 동시에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 춤의 기원은 명확하게 고대의 다산의식이다.
사람들은 항상 자신들의 약하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만회하려고 신에 의존했다. 그래서 자신들의 소유물중 최고의 것들을 신에게 바치곤 했다. 과일, 가축 심지어 사람까지 바쳤다.
이런 다산 의식은 모든 고대 사회에 존재했다. 이 위대한 어머니 신들은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Mylitta, Isis, Ashtoreth, Astarte,Ishtar, Aphrodite, Venus, Bhagvati, Parvati , Ceres 등등 이런 여신들은 제한된
의미로서 자식들 많이 출산하는 다산이 아니라 포괄적 의미의 다산의 기능을 했다.
2. 밸리댄스는 전통적으로 맨발로 춘다.
맨발로 추는 다른 춤들도 있지만 대개 앞에서 언급한 기준들과 일치하지 않는다.
비슷한 형태는 무어식(Moorish style)의 스페인춤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플라맹고는 신발을 신고 춘다.
그러나 오랜동안 유럽의 일부를 점령했던 무어인들(아프리카 북부의 회교도)은 맨발의 춤을 남겨 놓았다.
근대에 일부 유명한 이집트 댄서들은 가난하여 신발살 여력도 없는 자신들의 청중들에게 자신들의 경제적 여유를 자랑할 목적으로 높은 굽이 있는 신발을 신고 춤을 추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맨발로 춤을 추는 댄서들의
전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것은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춤 자체가 어머니 땅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3. 밸리댄스는 동방 음악의 전통을 성장시켰다.
현대의 밸리댄스들이 서구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음계를 가지고 있는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밸리댄스가 근동과 중동 음악 리듬에서 받은 영향은 기본적으로 서구에서 발달한 것과는 다른 음악형태를 만들어 내었다.
음악가 이샤크 이븐 이브라임(Ishaq ibn ibrahim/7677-850A.D)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실수를 하는 사람은 그래도 여전히 우리의 친구다. 멜로디를 늘이거나 짧게 만들어버리는 사람도 여전히 우리의 친구다. 그러나 리듬을 어기는 사람은 더이상 우리의 친구가 아니다." 그 차이는 동구음악과의 전체적인 조화의 부재에 달려 있다고 커트삭(Curt Sachs)는 설명한다.
4. 댄서들은 음악가를 돕는 어떤 형태의 리듬악기를 이용한다.
또는 그들춤을 돕는 단독반주악기로 리듬악기를 이용한다. 스페인 댄서들도 이와 비슷하다. 그러나 집시춤과 포에니시안 민족간의 연관성을 생각한다면 이들춤은 분명히 공통적인 유산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원전 2세기 테베(Thebes)에서 발견되는 초기 댄서들의 금속 손가락 심벌즈가 바로 그것들이다. 그 심벌즈는 직경이 2와 16분에7인치 크기이며 중앙이 돌출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도 위로 향하고 있다.이보다 약간 큰 직경이 3과 3분의 8인치인 손가락 심벌즈들도 테베의 것들이다.
정확하게 이것들은 크로탈레스(crotales) 또는 크로탈라(krotala)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작은 청동 심벌즈라는 뜻이다.이것들에는 손에 끼워서 양쪽을 부딪히게 해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막대기처럼 생긴 손잡이들이 붙어있다. 그러나 테베에서 발견되는 어떤 것들은 기원후 50년 품페이에서 발견되는 것 처럼 2와 2분의 1인치 직경의 심벌즈에 줄이나 체인같은 손잡이가 붙어 있기도 하다. 이 짧은 줄은 두손으로 연주하기에 거북하기 때문에 이것은 아주 정밀한 측정이다.
5. 동양의 춤은 특이하게 여성의 신체에 맞춰 안무되었다.
즉 복부근육과 힘과 가슴의 움직임 등을 강조한다. 그것은 안정됨 그리고 땅과 관계가 있다.
즉 맨발로 땅위에서 춤을 춘다는 것의 의미는 바로 이것이다. 그리고 이 춤은 매끄러우면서 흐르는 듯 하고 복잡하면서 허리를 감각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몸을 몹시 흔드는 형식의 춤과는 다르다.동구의 댄스는 유럽의 스텝을 사용해서 추는 춤과는 아주 다르다. 동구의 댄스는 바로 근육을 이용하는 춤이다.
전통적인 밸리댄스에서는 절대 무릎을 엉덩이보다 높이 들지 않는다.
(단 고대의 Phyrric댄스나 역시 다산을 의미하는 춤인 리핑(Leaping-껑충껑충 뛰는 춤)댄스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Level changes do allow for dancing while sitting on the floor.
6. 이 춤에서는 딱딱이 이외에 뱀이라든지, 칼, 베일, 촛불 등과 같은 소품들도 사용하였다.
이들 지역의 이러한 춤들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소품들은 이 당시 사람들에게는 마술적인 기능과 벽사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단순히 뱀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도리를 상징하기도 하고 자신의 꼬리를 먹어치우는 뱀을 묘사하는 것은 불명성을 상징하는데 그래서 뱀의 상징성은 아주 복합적이다.
7. 구경꾼들은 춤이 행해지는 마당에 그냥 동전이나 지폐를 바로 던져 주기도 하고 댄서의 몸위에 돈을 올려 놓기도 한다.
다른 형태의 춤에서는 이런 일이 없다. 고전적인 그리스 시대에 가난한 집안 출신의 여성들은 자신의 엉덩이에 장식띠를 두르고 시장으로 자신의 결혼 지참금을 벌기 위해 춤을 추러 나가곤 했다.구경꾼들은 작은 금화를 그녀에게 던졌다. 여자들은 돈을 받으면 그 돈을 자신의 보디스(여성옷의 몸통부분)나 엉덩이 밸트에 장식으로 꿰메어 달았다.
8. 밸리댄스는 민속춤 또는 보통 사람들로 부터 발전된 춤임에도 불구하고 전문적인 댄서와 잘 훈련된 독무가의 형태로 변형되어 갔다.
민속춤은 더 많은 사람들을 위해서 대개 단순한 형태로 변형되어 간다. 동양의 춤은 일정정도의 훈련을 필요로 할 정도로 세련된 형태로 변화해 갔다. 그리고 완전히 즉흥적인 스타일의 1인 공연이나 일정한 안무가 있는 2,3인의 앙상블 형태로 변화해 갔다.
이 보고서는 밸리 댄서가 사원에서 시작되어서 세속적인 에로틱 형태로 변화해 갔으며 결국에는 전문적인 댄서가 추는 춤의 형태로 변형되어 갔음을 보여준다.그래서 역사가로서 말을 한다면 이 춤은 종교적인 영역에서 시작되어서 구경꺼리 또는 놀이로서의 춤으로 변화해 간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동구 춤의 다양한 형태는 오늘날 중동 곳곳에서 사람을 치료하는 주술적인 의미로 그리고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고 아주 황홀한 춤으로서 계속되고 있다.
'알면 좋은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구박사의 심장병이야기 1 (0) | 2013.03.17 |
---|---|
富의 정의 (0) | 2013.03.01 |
피톤치드 (0) | 2013.01.13 |
당뇨병 알아야 지킨다 (0) | 2013.01.13 |
우리나라의 10대 발명품 (0) | 2013.01.13 |